택배배송 조회
- 인수
- 이동중
- 배달지
- 배달중
- 완료
- 택배사
- CJ대한통운
배송시간 | 현재위치 | 배송상태 |
---|
검색결과가 없습니다 운송장 미등록 상태이거나 업체에서 상품을 준비중입니다.
초기화정보를 불러오는 중입니다.
본 정보는 실제 배송상황과 다를 수 있습니다.
블랙마카 추천 효능 부작용(진액, 액상, 스틱, 정제, 환)
오늘은 페루의 인삼이라 불리우는 블랙마카 관련 정보를 전달해드리겠습니다. 5분정도만 읽어보시면 마카에 대한 자세한 정보와 제품 구매시 고려해야할 사항
모기기피제 스프레이 추천 구매가이드(신생아, 유아, 임산부)
모기가 다시 극성인 계절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모기기피제 스프레이 추천 순위 및 모기기피제 성분 비교와 각 제품별 신생아 유아
투자 포트폴리오 구성의 중요한 이유와 방법
투자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부를 늘리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지만, 관련된 위험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애플페이 사용법 및 한국 카드 등록 활성화 지원 여부
이번 포스팅에서는 애플페이 사용법 및 카드 등록 활성화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애플의 결제 서비스인 애플페이가 현대카드 독점 계약을
2023년 FOMC 일정 발표 및 기준금리 전망
2022년 코로나 판데믹이 지나고 나서 어려운 경기가 다시 살아나는 듯 하였으나, 계속적인 경제 성장 약세로 인하여 바로 잡기
금융소득세 세율 계산 및 절세 방법
주식에 관심이 있으신다면 금융소득세 라는 세금도 한번쯤은 들어보셨을텐데요, 2023년 금융투자소득세는 유예되었지만, 계속 납부하고 있는 세금 바로 금융소득세 입니다.
겨울철 난방비 절약 방법 및 난방비 인상 이유
난방비 폭탄이라는 제목으로 뉴스와 기사가 쏟아지면서 동시에 난방비 절약 방법에 대해서도 집중하는 분들이 많으실 겁니다. 왜냐하면 작년 겨울
국내 통합 택배 조회 배송과정
- 제품 주문 → 쇼핑몰(혹은 발송인) 택배 접수 및 택배기사 수거 → 집하 처리(입고) → 간선상차 (중간 터미널로 출발) → 간선하차(중간 터미널 도착) → 간선상차(중간 터미널에서 출발) → 간선하차(지역 터미널 도착) → 배달 출고 → 배송 완료
쇼핑몰 주문상태 용어
- 주문 접수 : 쇼핑몰 내에서 주문이 접수만 되어진 상태로 주문 취소 및 변경 등이 가능한 상태
- 상품 준비중(배송 준비) : 주문접수 후 상품이 준비중인 단계로 기성품의 경우 대개 주문취소 및 변경이 가능하지만 주문제작 제품을 주문한 경우 불가능한 경우도 있습니다.
- 배송중 : 제품의 배송이 접수되었으며 제품이 이미 출고가 된 상태로 주문취소 및 변경이 불가능한 상태
국내 택배 배송 조회 용어
- 집하 : ‘택배 집하 중 혹은 집하 처리’ 라는 용어는 접수된 물품을 각 지역의 물류센터 또는 터미널로 배송하기 위해 ‘택배기사가 수거를 기다리고 있거나 수거하는 과정’ 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입고 : 제품이 발송지로부터 수거되어 물류센터 혹은 터미널에 도착한 상태
- 행낭포장 : 주문한 제품의 사이즈가 소형이거나 우편용 비닐에 포장되어있는 경우 물품의 분실 혹은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배송지역이 같은 소형 제품들끼리 묶어 행낭에 포장 되어지는 것
- 간선하차 : 택배가 중심거점이 되는 터미널 혹은 물류센터에 도착 후 택배차량으로부터 물품이 내려지며 각 발송 지역별로 분류가 진행됩니다.
- 간선상차 : 분류된 물품이 택배차량으로 다시 실어져 각 지역별로 출발 대기 혹은 출발한 상태
*지역에 따라 간선상차 및 간선하차 등의 상태가 반복적으로 일어날 수 있습니다. - 배달 출고(배달 중) : 각 지역사업소에서 담당 택배기사님들이 배송 주소지로 배달을 시작한 상태. 대개 당일 배송을 받아볼 수 있으나 배송량에 따라 다음날 받아보는 경우도 있습니다.
- 배달 완료 : 배송 완료된 상태로 간혹 택배기사님이 배송 전 전산상에 미리 배송 완료를 찍어두고 배송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상품 주문 경과기간이 궁금하시면 날짜계산기를 이용해보세요.
- Hub (허브) : 택배 물류의 중심거점으로 옥천HUB, 곤지암HUB, 대전HUB, 청원HUB 등이 대표적인 허브 입니다.
- Sub (서브) : 중심거점이 아닌 지역의 영업소. 각 지역별로 뒤에 의창ASub, 시흥2Sub 등 알파벳 혹은 숫자를 붙여서 명명하고 있습니다.
- 콘솔Hub : 대개 허브와 같은 역할을 하나 차이점이라면 주로 행낭포장이 이루어지는 중소형 사이즈의 물품들을 위한 Hub 라고 이해하시면 되겠습니다. 대표적으로 가산콘솔Hub, 토평콘솔Hub 등이 있습니다.
- CP : Hub와 동일한 역할이지만 Hub는 주로 수도권, 대도시 등 중심거점에 있다면 CP는 지방 및 소도시에 있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서브와 마찬가지로 숫자 등을 붙여서 명명하고 있으며 대표적으로 고촌1CP, 도척2CP, 부곡4CP 등이 있습니다.
- MP : 멀티포인트(Multi Point)의 줄임말로 소형물품으로 따로 분류되어져 MP스캐너에 인식이 되어진 상태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이런경우 따로 행낭포장 혹은 MP마대에 묶음으로 배송이 진행되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TML (터미널) : Hub(허브) 라는 용어 대신 TML(터미널) 이라는 용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대표적으로 동남권TML, 군포TML 등이 있습니다.
해외 배송 과정 및 배송 조회 용어
- 보세운송수리 : 배가 들어오기 전 미리 운송사에서 소량컨테이너화물집합소인 CFS(Container Freight Station)로 운송하기 위해 세관에 1차 보세운송 신고하여 승인이 된 상태
- 입항적하목록 제출 : 직구한 물건의 서류인 배송대행지 신청란에 작성한 배송대행 신청서를 세관에서 심사하는 단계 입니다.
- 입항적하목록 심사완료 : 서류 심사가 정상적으로 완료된 상태
- 통관목록접수 : 인천 부산 등의 세관에서 제품이 통관 대기중인 상태
- 입항보고 수리 : 선사에서 선박의 입항을 신고하고 그것을 세관에서 승인한 상태
- 하선신고 수리 : 물품이 포함된 컨테이너를 항에 내리는 것을 세관에서 승인한 상태
- 반입신고 : 컨테이너가 항에 내려진 후 CY(Container Yard)에 반입된 상태
- 반출신고 : CY에 반입된 컨테이너가 반출된 상태. 만약 다시 반입신고가 잡힌 후 반출신고가 이루어졌다면 부산항에 보관할 물품과 인천항으로 옮겨질 물품을 분류한 경우일 수 있습니다.
- 보세운송신고 접수 : 인천항으로 옮겨지는 물품은 아직 통관 전으로 2차 보세운송신고를 세관에 접수한 상태
- 보세운송신고 수리 : 세관에서 보세 구역간 운송할것을 승인한 상태
- 수입신고 : 수입자가 세관신고를 통해 어떤 물건인지, 금액은 얼마인지 신고하여 관세와 부가세를 확인하는 상태
- 수입신고수리 : 수입신고에 이상이 없으며 인천에 물품이 문제없이 도착하여 보관되었음이 신고된 화물에 대해 관부가세를 미리 혹은 추후 납부한 뒤 세관으로부터 수입신고필증을 받아 최종적으로 물건을 CFS에서 뺄 수 있는 상태
- 통관목록심사완료 : 앞선 모든 절차가 문제없이 완료되어졌으며 곧 국내배송으로 택배가 배송되어질 상태